[산업안전보건교육], [보일러] 공유 블로그
총방문자
오늘
어제
다음은 VDT증후군 중 근막통증증후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근육이나 근육을 싸고 있는 근막이 VDT작업시 부적절한 자세 등으로 뭉치면서 생기는 통증을 말한다. 2) 증상은 어깨 또는 목결림으로 시작해 근육통으로 손에 힘을 줄 수 없는 증상까지 진전된다. 3) 근력이 약한 여성에게 주로 발생한다. 4) 주기적으로 머리 한쪽이나 머리 전체적으로 아파오면서 어지럼증이 발생한다.
다음은 VDT증후군 중 대표적인 거북목증후군에서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목 윗부분의 근육과 인대가 늘어난 상태이다. 2) 허리가 아프거나 등에 통증이 있는 상태이다. 3) 평소 어깨가 뻐근하고 통증이 있는 상태이다. 4) 평소 눈이 시리고 뻑뻑한 상태이다.
VDT 작업으로 인한 근골격계질환 발생 요인 중 정적인 부하에 대한 상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작업공간 및 발 공간의 협소 2) 모니터 주시 3) 장시간 앉은 자세 4) 서류 내려다보기
다음 중 만성피로의 원인이 되는 질환과 생활습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체질환으로 심한 빈혈, 당뇨 및 갑상선질환이 있을 때 발생될 수 있다. 2) 정신질환으로 우울증이나 불안증이 있을 때 발생될 수 있다. 3) 흡연, 지나친 음주 등 생활습관 이상으로 발생될 수 있다. 4) 지나친 운동이나 심한 체력저하로는 만성피로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은 뇌심혈관질환 중 어떤 질환을 설명을 한 것이다. 무엇인가? [주로 심장 또는 목의 큰 혈관에서 혈전이 떨어져나가 뇌혈관을 막아서 일시적인 마비 증상 등이 생긴다.]
주로 심장 또는 목의 큰 혈관에서 혈전이 떨어져나가 뇌혈관을 막아서 일시적인 마비 증상 등이 생긴다. 1) 뇌경색 2) 심장질환 3) 협심증 4) 심근경색증
다음은 뇌심혈관질환의 관리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
1) 뇌심혈관질환의 경우 크게 회사적차원과 개인적차원 두가지의 관리방법이 있다. 2) 기초질환관리와 생활습관관리는 개인적 차원에서의 관리방법에 속한다. 3) 근로자 건강관리 프로그램운영, 작업환경개선 등은 개인적 차원에서의 관리방법에 속한다. 4) 회사적차원에서의 관리 중 건강관리 프로그램 운영에는 건강검진 실시 등이 있다.
다음 중 뇌심혈관질환의 개인적인 위험요인으로 틀린 것은?
1) 건강상태요인으로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비만 등이 있다. 2) 생활습관요인으로 흡연, 폭음, 운동부족 등이 있다. 3) 유전적 요인으로 연령, 성별성 질병이 있다. 4) 화학적 요인으로 이황화탄소, 염화탄화수소, 일산화탄소 등이 있다.
다음 중 뇌심혈관질환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본인이 병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전혀 모르는 상태가 많다. 2) 고혈압, 당뇨병 등 개인적 질환이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3) 유전적인 요인이나 생활습관과도 관계가 있다. 4) 본인이 가지고 있는 병과는 전현 관계가 없이 발생한다.
다음 중 뇌심혈관질환의 관리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
1) 회사적 차원에서의 관리에는 근로자 건강관리가 있다. 2) 회사적 차원에서의 관리에는 작업환경 개선이 있다. 3) 개인적 차원에서의 관리에는 기초질환관리가 있다. 4) 개인적 차원에서의 관리에는 근로자 건강검진이 있다.
다음은 뇌심혈관질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뇌혈관질환과 심장혈관질환을 합쳐서 뇌심혈관질환이라고 한다. 2) 뇌심혈관질환은 심장혈관에만 발생하는 질병을 말한다. 3)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이 뇌심혈관질환에 속한다. 4) 근로자에게서 작업관련인자가 발생요인으로 일부 작용하여 발병한 것으로 추정되는 뇌심혈관질환을 작업관련성 뇌심혈관질환이라고 한다.
다음은 뇌심혈관질환의 관리 중 개인적 차원에서의 관리에서 기초질환관리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기초질환관리에는 고혈압 관리와 고지혈증 관리가 중요하다 2) 고혈압은 합병증이 없는 한 증상이 거의 없어서 더욱 위험하다. 3) 고지혈증은 혈관내에 지방 침전물 때문에 주요 혈관이 막히는 질환이다. 4) 혈압이 5% 감소하면 심장병 발생률은 27%, 뇌졸증 발생률은 40%가 증가한다.
다음은 뇌심혈관질환의 회사적 차원에서의 관리 중 작업환경개선을 위한 작업관련 위험요인 확인에 대해서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화학적 요인으로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이 있다. 2) 물리적 요인으로 소음, 온열작업, 한랭작업 등이 있다. 3) 작업관련 요인으로 교대근무, 장시간 근무, 야간근무 등이 있다. 4) 정신적 요인으로 과도한 육체활동 등이 있다.
다음 중 뇌심혈관질환의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개인적인 위험요인은 건강상태요인, 생활습관요인 등이 있다. 2) 작업관련 위험요인은 화학적 요인, 물리적 요인, 사회심리학적 요인 등이 있다. 3) 교정할 수 없는 요인은 성별, 유전적, 연령적 요인이다. 4) 교정할 수 있는 요인은 성별, 유전적, 연령적 요인이다.
다음은 뇌심혈관질환의 원인에 대해서 설명을 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위험요인에는 크게 개인적인 위험요인과 작업관련 위험요인이 있다. 2) 개인적인 위험요인에는 건강상태요인, 생활습관요인, 유전적요인이 있다. 3) 작업관련 위험요인에는 화학적요인, 물리적요인, 작업관련요인, 정신적요인 등이 있다. 4) 기초질환(고혈압, 당뇨) 등은 교정할 수 없는 요인이다.
휴먼에러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모든 작업은 정해진 순서와 지시에 따라 실시하되 경력자는 보인의 판단하에 조절한다. 2) 지시, 보고, 연락 등을 정확히 행하고 인계를 할 때는 작업 전 미팅을 통해 누락되는 것이 없도록 반드시 확인한다. 3) 위험에 대한 감수성 또는 위험예지능력을 향상시키는 훈련을 반복 시행하여 긴급한 상황에 당황하지 않도록 한다. 4) 기기, 밸브 등의 배치나 표시, 표식으로 오인이나 오조작이 생기지 않도록 확인한다.
현장에서 사고가 발생되어 산업재해조사표 작성하는 것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4일 이상 휴업재해 발생 시 산업재해조사표를 작성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2) 산업재해조사표 제출 시키는 재해 발생 후 일주일이다. 3) 산업재해조사표의 조사 내용에는 사업장정보 및 재해발생개요, 재발방지계획 등이 있다. 4) 산업재해조사 관련 서류는 5년간 보존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