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근로자가 업무수행 과정에서 유해, 위험요인을 취급하거나 유해, 위험요인에 노출된 경력이 있을 것
2. 유해, 위험요인을 취급하거나 유해, 위험요인에 노출되는 업무시간 등에 비추얼 볼 때 근로자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인정될 것
3. 그 업무에 종사한 기간 및 업무 환경 등에 비추어 볼 때 근로자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고 인정될 것
4. 근로자가 유해, 위험요인에 노출되거나 유해, 위험요인을 취급한 것이 원인이 되지 않아도 그 질병이 발생하였다고 의학적으로 인정이 되면 인정된다.
'산업안전보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은 근골격계질환 3대 요인 중 집단적 작업환경 요인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0) | 2024.10.21 |
---|---|
다음은 사업장 근로자의 업무관련성 평가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0) | 2024.10.21 |
다음은 산업안전용어 중 업무상 질병에 대한 설명이다. 거리가 먼 것은? (0) | 2024.10.21 |
다음은 업무상 재해로 인정되는 요건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0) | 2024.10.21 |
다음 직무스트레스 관리에서 회사 및 조직적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0) | 2024.10.21 |